[정홍수] 5월의 날씨 이야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5-16 11:22 조회37,50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신록의 계절 5월이 돌아왔다. 이 어김없음, 계절과 날씨의 진행만큼 우리를 설레게 하고 아프게 하는 것이 또 있을까. “아버지는 인간은 자신이 경험하는 기후의 총합이라고 했다.” 윌리엄 포크너의 <소리와 분노>(공진호 옮김, 문학동네) 2장에 나오는 대목이다. 죽음을 앞둔 아들 퀜틴의 머릿속에 재생되는 아버지의 말은 무(無)로 이끌리는 인간 존재의 한 측면을 강조하는 가운데 발화된 것이다. ‘흙과 욕망의 교착상태’로 인간을 정의하는 허무주의자 아버지의 입장에서 보면,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기후는 그 ‘흙과 욕망’의 우선하는 질료일 수 있다. 동의하든 않든, 다소 냉소적인 기후-인간론은 흥미롭다. 가볍기까지 하다. 하루하루 겪은 날씨를 모아보면 그게 인간이라고?
아버지의 말이 환기되기 직전, 퀜틴이 보고 있는 것은 초여름(2장의 제목은 ‘1910년 6월 2일’로 퀜틴이 화자다. 그는 이날 자살했으므로 우리는 죽은 자의 시점을 마주하고 있다.) 보스턴 교외 시골 냇가의 풍경이다. 그는 고향인 남부 제퍼슨의 여름을 떠올린다. “고향에서 팔월이 끝나갈 무렵이면 이런 날들이 있다. 이렇게 산소가 희박하고 열망으로 가득한 날들이, 서글프고 향수 어린 친숙한 무언가가 느껴지는 날들이.”
앞으로 돌아가면 전차에서 막 내려 낯선 고장의 대기를 접한 몸의 감각도 있다. “소리마저 이 공기 속에서는 잦아드는 듯했다. 아주 오랫동안 소리를 실어 나른 나머지 공기가 지쳐버린 듯했다. 개 짖는 소리는 기차 소리보다 멀리 실려간다. 어쨌든 밤에는 그렇다. 사람 소리도 그렇다.” 여동생 캐디에 대한 과도한 사랑과 욕망은 지금 스스로를 폭파시키기 직전이다. 그의 지나치게 섬세한 의식은 현재와 과거를 혼란스럽게 오가고, 이미 죽은 자의 시간에까지 이르러 있다. 이 카오스를 지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저 희박한 산소와 가득한 열망의 이야기, 소리를 실어 나르는 공기의 이야기에 대해서라면 우리는 잘 알지는 못하는 대로 그 진실을 수긍하고 싶어진다. 그 순간 그는 거의 완벽하게 대기와 교섭하며 깨어 있다. 적어도 내게는 그렇게 느껴진다. 그는 정말 살아 있는 것이다. 대기와 함께 세상의 표면과 딱 붙어버려 상실될 수도 훼손될 수도 없는 기억. 누가 이런 시간, 기억의 총합을 인간이라고 이야기해준다면, 나는 고맙게 그의 인간론을 받아 안고 싶을 것 같다.
지금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회고전이 열리고 있는 에릭 로메르 감독은 유독 날씨에 민감한 영화를 찍었다. 그는 “내 영화는 날씨의 노예”라며 기상학이야말로 자신의 영화를 완성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한 바 있다. 파스칼의 고향이기도 한 클레르몽페랑의 눈 오는 겨울 하루가 아니라면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은 그 유혹과 거절, 내기의 이야기가 될 수 없었을 테다. 이때 세상의 공기는 배경이나 리얼리티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이야기, 마음의 움직임과 함께 존재한다. (후략)
정홍수 문학평론가
(한국일보, 2017년 5월 4일)
기사 전문 http://www.hankookilbo.com/v/7e858ed0b4fd482c856fef5a494311ea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