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필렬] 원자력연구원의 민간 매각 검토해야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칼럼·언론보도

[이필렬] 원자력연구원의 민간 매각 검토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7-10-12 18:05 조회38,280회 댓글0건

본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0121140011&code=990100#csidx354688237774158aaecaf6814a6522b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정부에서 만든 연구소 중에서 전자통신연구원에 이어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연구소이다. 그러나 정부에서 지원받는 돈의 액수로 따지면 단연 최고 규모이다. 전자통신연구원은 정부 지원금이 1000억원도 안되지만, 원자력연구원은 거의 5000억원에 달한다. 6000억원 남짓한 전체 예산의 80%가 정부지원금으로 충당되니, 연구원에서 쓰이는 거의 모든 돈이 국민의 세금에서 나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전자통신연구원의 지원금 비중은 15%이다.

 
원자력연구원에서는 이렇게 막대한 예산을 가지고 원자력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모두 손대는 것 같다. 소듐냉각고속로, 소형 스마트원자로, 수소생산용 초고온가스로, 파이로프로세싱 방식 재처리, 양성자가속기, 신개념 사고저항성 핵연료 같이 일반인에게는 생소한 연구를 많은 돈을 들여서 수행하고 있다. 단일 연구소로는 아마 전 세계 어떤 나라의 원자력연구소보다 더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을 것이다.


원자력연구원이 이렇게 막대한 세금을 사용하면서 하고 싶은 연구를 할 수 있게 된 배경에는 정부의 원자력 ‘우대정책’이 있다. 특히 이명박 정부 때 녹색성장이란 이름아래 원자력관련 연구들을 대대적으로 지원한 탓에 원자력연구원의 예산은 급속하게 증가하여 2017년에는 전자통신연구원과 거의 맞먹는 수준까지 올라갔다. 이러한 우대정책 때문인지 원자력연구원은 보통 사람에게는 오만하게 보이는 행동도 종종 보여왔다. 올해 초의 방사성 폐기물 무단폐기, 감시기록 조작과 누락도 이러한 오만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런 범법행위에 대해 원자력안전위원회가 20억원 가량의 과태료와 과징금을 부과했는데, 원자력연구원은 이에 대해서도 반발하여 대형 로펌 김앤장을 앞세워 처분취소 소송을 위한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국가 기관에서 범법을 저질렀으면 달게 벌을 받고 잘못을 고쳐야 할텐데, 이렇게 적반하장인 것은 정부에서 지금까지 원자력을 최고의 에너지로 대우했고, 따라서 잘못을 저질러도 벌받는 일 없이 항상 대접을 받아온 원자력 연구원들에게 깃들어 있는 우월의식에 기인할 것이다.


사실 우리사회가 탈원전 에너지전환으로 나아가는 마당에 자세히 따져보면, 원자력연구원에서 수행하는 연구는 대부분 불필요한 것이다.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차세대 원자로로 선전했던 소듐냉각고속로와 수소생산고온로 같은 것은 원자력발전소를 더는 건설하지 않기로 한 지금 개발해봐야 세금만 잔뜩 삼킨 고철덩어리가 될 뿐이다. 파이로프로세싱 재처리도 마찬가지다. 이 과정에서 얻어지는 불순물 섞인 플루토늄이 연료로 투입될 고속로가 건설되지 않으면, 파이로프로세싱은 순도높은 고준위 방사성 물질만 만들어낼 뿐이다.


이렇게 불필요한 연구를, 그것도 국민들의 세금으로 수행한다면 감사의 마음을 가져도 모자랄 터인데, 잘못을 지적한 국가기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이유는 오만하기 때문 아닌 다른 것에서 찾기는 어려울 것 같다. 상식적으로 보면 이런 오만한 기관에 세금을 지원하는 것은 세금 낭비이다. 그리고 이런 기관을 국가소속 연구기관으로 둘 필요가 없다. 그렇다고 없애기는 어려우니 세금을 가능한 한 적게 지원하거나 조금도 지원하지 않는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 고속로, 파이로프로세싱, 수소생산 고온로, 신개념 핵연료 등의 연구비를 지원하지 않고 탈원전 시대에도 필요한 연구만 세금으로 지원하는 것이 세금을 적게 쓰는 한가지 방법일 것이다. 세금을 조금도 쓰지 않는 방법은 원자력연구원을 민간에 매각하여 스스로 연구비를 수주해서 운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연구원은 법에 저촉되지 않고 연구비만 얻을 수 있으면 어떤 연구든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된다. (후략)


이필렬 | 방송대 교수·문화교양학부

(경향신문, 2017년 10월 12일)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0121140011&code=990100#csidx354688237774158aaecaf6814a6522b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E-Mail. segyo@segyo.org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