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엽] 박근혜, 또는 두 개의 죽음 사이에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4-07 16:51 조회36,11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통상 사람은 육신의 존재로서 먼저 죽고 뒤이어 상징적 죽음에 이른다. 하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은 육신보다 먼저 상징적으로 죽은 존재가 되었다. 구치소로 가는 차 속에 언뜻 비친 그는 올림머리가 풀린 상태였는데, 그렇게 그의 사회적 실존을 동여매던 상징적 매듭도 풀린 것이다. 이제 그에게 남은 것은 상징적 매듭이 풀린 뒤의 삶, 단순한 생명체로서의 삶뿐일 것이다. 그는 명예 회복과 복권을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하겠지만, 그것은 그가 자신이 이미 상징적으로 죽었음을 모르고 있음을 말해줄 뿐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겪고 있는 이런 운명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상징적 운명과도 깊은 관련을 갖는다. 모두 알다시피 박정희 전 대통령은 생명체로서는 1979년에 죽었다. 하지만 죽음의 형식, 그러니까 측근이었던 중앙정보부장이 술자리에서 쏜 총에 죽었다는 점이 어떤 상징적 부적합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상징적으로는 제대로 죽지 않았던 셈이고, 그 때문에 우리 사회 성원들 가운데 상당수가 아주 오래 그에게 ‘사로잡힌’ 상태에 있었다. 그리고 그가 이렇게 두 개의 죽음 사이에 유폐된 망령으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그의 유산은 더 나쁘게 이어졌다.
‘군사적 양자(養子)’ 둘이 그보다 더 많은 피를 뿌리고 대통령이 되었으며, ‘경제적 양자’인 이명박 전 대통령은 그보다 더 많은 시멘트를 국토에 들이부었다. 마침내 대통령이 된 그의 친딸 또한 박정희식 체제 운영의 비밀을 다시 한번 폭로했거니와, 그것은 공사 분리 이전 상태의 심성, 심리적 친소관계를 권력 배분의 원리로 삼는 극단적인 자의적 지배, 그리고 국민의 절반 이상을 블랙리스트 대상으로 삼기를 마다 않는 적대의 정치였다.
그렇다면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 마땅하고 올바른 상징적 죽음의 형식은 무엇이었을까? 두 번의 쿠데타를 저지르고 숱한 사람을 고문하고 살해하며 권력을 유지했던 자에게 적합한 상징적 죽음은 독재자에게 저항하는 민중의 봉기에 의해 권좌에서 쫓겨나는 일이어야 마땅하다. 그러므로 박근혜 전 대통령이 겪은 탄핵과 구속은 어떤 의미에서 아버지가 받아 마땅했던 상징적 죽음을 완수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후략)
김종엽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
(한겨레, 2017년 4월 5일)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89469.html#csidx3a132287270a4338127e84b51314ac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