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이 다케시] 세계 난민의 날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06-24 17:59 조회30,13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눈을 부라리고 있는 소와 대조적으로 그가 그린 아이들은 모두 눈을 감고 있다. 바닷가에서 물고기나 게와 노니는 벌거숭이 아이들을 그린 유명한 그림들은, 제주도 피난 시절의 아들들의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들이 지낸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정방폭포가 4·3 당시 서귀포 지역 최대의 학살지였던 것처럼, 그 바다는 결코 평화로운 바다는 아니었다. 이중섭은 가족에게 보낸 편지에서 가족들의 모습을 자주 그렸는데, 거기서도 눈뜬 사람은 자신뿐, 아내와 아들들은 늘 눈을 감고 있다. 그들이 전쟁과 학살이 벌어지는 현실을 보지 말았으면 하는 염원이 담겨 있는 것이다. 물론 그것은 현실도피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중섭도 눈을 부릅뜬 소를 계속 그렸을 것이다. 하지만 먼저 ‘현실’에서 벗어나야만 우리는 또 다른 현실을 상상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난민이란 어떤 현실에서 벗어나기를 선택한 이들이다. 고향에서 쫓겨난 불쌍한 피해자로 이미지화되곤 하지만, 인류학자 제임스 스콧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도피나 탈출은 또 다른 삶을 구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위이기도 하다. 그들이 난민캠프 같은 곳에 갇혀 이동성을 빼앗기면서 ‘무력한 난민’은 만들어진다. 난민문제란 탈출이 중단되는 데서 비롯되는 문제다.
오늘 6월20일은 ‘세계 난민의 날’인데, 원래는 아프리카통일기구가 체결한 난민조약이 발효된 날을 기념하는 ‘아프리카 난민의 날’이었다. 그 조약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이가 당시 탄자니아 대통령이었던 니에레레다. 그는 까다로웠던 난민 규정을 대폭 완화했으며 실제로 탄자니아로 입국한 난민들에게 시민권과 토지를 제공했다. 난민에 대한 국제적인 규정이 그나마 확대된 것은 니에레레를 비롯한 이들이 적극적으로 난민을 받아들이려고 노력한 성과다. 그런데 니에레레가 난민 수용에 관용적이었던 이유는 그가 목적의식적으로 ‘새 국민’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아프리카 고유의 사회주의를 추구한 니에레레는 ‘우자마 마을’이라고 명명된 이상촌을 만드는 작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평등한 마을 만들기를 표방한 이 사업은 기존의 생활방식을 파괴하는 것이었고, 아프리카난민조약이 발효된 1974년 당시에는 기존 마을을 불살라버리면서 집단이주가 강행되고 있었다. 난민들은 새로운 국민이 될 수 있었지만, 그 대가는 강제적인 정착이었다. (후략)
후지이 다케시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한겨레, 2016년 6월 19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