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이 다케시] 패배의 경험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칼럼·언론보도

[후지이 다케시] 패배의 경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04-27 19:44 조회30,570회 댓글0건

본문

독일의 시인이자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대표적 희곡 중 하나가 <갈릴레이의 생애>다. 갈릴레이는 교황청의 압박에 못 이겨 끝내 지동설을 철회했지만 ‘그래도 지구는 돈다’는 말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브레히트는 1930년대 후반 나치 독일을 피해 망명 중이었을 때 교황청이라는 막강한 권력 앞에서 유연하게 저항한 인물로 갈릴레이를 부활시키려고 했다. 30년대 말에 완성된 이 작품은 겉으로만 굴복하고 연구를 계속한 갈릴레이의 현명함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1945년 이후에 이 희곡은 큰 변화를 겪게 된다. 브레히트는 이 작품에 지동설을 철회한 4년 뒤에 옛 제자 앞에서 자신의 선택에 대해 강한 자아비판을 하는 갈릴레이의 모습을 추가한 것이다. 이 개작의 직접적인 계기는 미국의 원자탄 투하였다. 브레히트는 과학이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활용된 사실에서 과학에 대한 통제권을 권력자에게 넘긴 갈릴레이의 선택의 결과를 본 것이다. 그는 미국에서 안전한 망명 생활을 보낸 자신에 대한 비판의식 속에서 주관적으로 저항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실제로 저항이 될 수 있었는지 엄격히 성찰하는 지점에서 ‘전후’를 시작하려고 했다(<살아남은 자의 슬픔>이라는 감상적인 제목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 시 <나, 살아남은 자>(Ich, der berlebende) 역시 죽은 자의 목소리를 빌려 살아남은 자신을 규탄하는 모습을 잘 보여준다).


그런데 최근 대학생들과 함께 <갈릴레이의 생애>를 읽었을 때, 이 작품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갈릴레이의 자아비판이 잘 공감되지 않는다는 것을 느꼈다. 적지 않은 학생들이 갈릴레이의 선택을 아예 긍정하는 입장을 보인 것이다. 아무도 그에게 희생을 강요할 수 없으며 살아서 연구를 완성시킨 그의 선택이 옳았다는 식이다. 물론 갈릴레이가 죽음을 선택했어야 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가 분명하게 자아비판을 하고 있는데도, 그 굴복이 현명한 선택이었다며 전혀 자아비판을 할 필요가 없다는 이 이해심은 어디서 온 걸까? 사실 여기에는 일종의 기시감이 있다.


10여년 전에 등장한 뉴라이트의 역사관이 바로 그런 것이었다. 흔히 ‘친일 미화’라고 표현되듯이 그들은 ‘친일파’(특히 자본가)의 행위를 현명한 선택으로 만들었다. 그런 뉴라이트의 주장에 대해서는 당연히 수많은 비판이 쏟아졌지만, 문제는 그들을 친일파 옹호자로 비판하는 것만으로는 그들의 논리가 받아들여지는 토양을 바꿀 순 없다는 데 있다. 이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나날이 굴복을 강요당하는 이들의 입장에서 친일파는 결코 먼 존재가 아니다. 여기서 도덕적인 친일파 단죄는 겉돌기만 한다. 차라리 그런 선택을 긍정해주는 말은 위안이라도 되는데 말이다.


문제는 굴복이라는 행위 자체가 아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그럴 수밖에 없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자신이 굴복이나 패배를 당했다는 것을 직시하고 있는 한, 승부는 끝난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새로운 형태의 저항을 만들어내는 기점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강요당한 굴복을 합리화하기 시작한 순간부터 진정한 패배가 다가온다. 어떻게 보면 패배의식이란 패배를 외면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이다. 계속 패배하고 있는 한 승부는 끝나지 않는다. 승부는 패배를 그만둔 순간에 끝난다.(후략)



후지이 다케시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2016년 4월 24일)


기사 전문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41092.html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E-Mail. segyo@segyo.org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