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수] 우리는 알지 못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08-09 16:35 조회32,83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2002년 6월 한일월드컵 마지막 날 밤 19세 여고생이 살해된다. 같은 반 남학생 두 명이 용의 선상에 떠오르고 알리바이를 분명하게 입증 못 한 한만우라는 학생이 집중적인 수사 대상이 된다.
살아남은 자의 이야기, 실패한 애도의 이야기는 많다. 애도의 시간을 모욕하는 일이 공권력의 이름으로 아무렇지도 않게 자행되는 이즈음의 현실에서라면 이 문제는 더 많이 발화되고 질문되어 마땅하다. 그러나 그런 가운데 애도 자체가 어느 면에서 정형화되거나 준비된 해답의 자리로 바뀌고 있지는 않은지 성찰도 필요한 것 같다. 애도해야 할 죽음이 있고, 그렇지 않은 죽음이 있는 것은 아닐 테다. 그럼에도 알게 모르게 우리는 그 가름선을 조금씩 갖고 있는지도 모른다. ‘개돼지’라는 선은 사실 너무 공공연한 것이기도 했던 터라 다들 그리 놀라지도 않았을 테지만, 그 외설적 누설을 통해 우리가 딛고 있는 민주주의의 지반이 얼마나 허약하고 위태로운지 새삼 확인시켜 준 공로는 있는 듯하다. 보다 중요하기로는 애도란 결국 살아남은 자의 몫이라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상실은 철저히 살아남은 자의 시선이다. 타인의 고통과 희열이 어디에 있는지 우리는 끝끝내 모른다.
그러니 상상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런데 상상은 어떻게, 왜 하는가. 권여선의 소설은 세 사람의 시점으로 되어 있지만, 동생의 시점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한만우의 경찰 조사 과정을 낱낱이 복원하는 다언의 상상이 사건의 진실에 도달하고자 하는 의지 말고도 복수심과 은밀한 개인적 욕망에 의해 추동되고 있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어쩌면 공감의 상상력이라는 중립 지대는 없으며, 여기에도 ‘주고받기’의 계산서는 치열하게 작동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 구도는 다언의 시점 뒤에서 이야기를 기술하는 작가의 자리 역시 질문에 부친다는 점에서 좀 더 철저하다. 그런 가운데 소설은 마침내 한 인간의 진실을 상상하는 값진 순간에 도달한다. 어느 면에서는 사건의 가장 가혹한 피해자라고 할 수 있는 한만우(난쟁이 엄마와 대형마트에서 일하는 의붓동생이 한가족이다)는 한창 젊은 나이에 골육종을 앓다가 죽는다.(후략)
정홍수 문학평론가
(한국일보, 2016년 7월 28일)
기사 전문 http://www.hankookilbo.com/v/923a2b6f14ac4ea8b7b821802c1235e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