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수] 부끄러움의 계산 방식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칼럼·언론보도

[정홍수] 부끄러움의 계산 방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02-12 19:20 조회31,953회 댓글0건

본문

꽤 긴 명절 연휴가 지났다. 연휴 앞뒤로 두 번 문상 갈 일이 생기기도 했다. 내가 찾았던 병원의 다른 한쪽에서는 새로운 생명들이 태어나기도 했을 테다.


생사의 일은 하염없이 진행된다. 이럴 때 명절과 같은 방식으로 사람들이 마련해둔 특별한 기림과 중단의 시간이 새삼 소중하게도, 덧없게도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우리처럼 음력으로 설을 쇠는 대만에서는 춘절 연휴가 시작되는 날 대규모 지진이 발생해 많은 사람들이 죽고 다쳤다. 순식간에 가족과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사람들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나. 지난달 4차 핵실험에 이어 설 전날 발사한 북한의 장거리 로켓은 남북 관계를 극도로 경색시켰고 정부는 개성공단의 가동을 전면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이 조치가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 수단이 될 수 있을까. 다른 복잡한 이야기는 접어두고라도, 당장 짐을 싸서 철수하게 된 개성공단 입주업체들과 거기서 일하는 남북 노동자들에게는 날벼락이 아닐 수 없겠다. 지금의 경색(폐색이 더 맞는 말일 테고, 그나마 개성공단이 거의 유일한 숨통이지 않았나) 국면이 쉬 풀릴 것 같지도 않은데 말이다. 명절이건 말건 세상은 역시 제 갈 길을 가는 것인가. 질주의 끝은 천길 벼랑 같은데 ‘에비에비’ 소리를 내는 이들은 정작 곶감 팔 궁리뿐이고, 그러면 그럴수록 당장의 하루가 벼랑인 사람들은 점점 더 마음을 닫아걸게 되는 듯하다. 지금 정치가 소통과 신뢰, 이해세력의 대변에서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는 것은 많은 이들이 지적하는 일이지만, 그런 한계 안에서라도 나름 정확한 사실과 정보에 근거한 최소한의 위기 대비와 관리가 있어주었으면 하고 바라는 것은 국민의 당연한 권리일 것이다. 그러나 이즈음 여러 사태에서 우리가 거듭 확인하는 것은 허둥지둥 그냥 무능한 모습이며, 그럴수록 ‘단호한’과 같은 진부한 수사를 거느린 강경 구호가 정책의 이름으로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다들 자조적으로 조금씩 되뇌기 시작한 ‘각자도생’은 점점 유일한 삶의 방책이 되어가고 있는 듯하다.


이런 상황이 큰 틀에서만 우리의 삶을 옹색하고 궁핍하게 만드는 것은 아니다. ‘각자도생’은 결국 마음을 닫아거는 일이다. 조금씩 그러더라도, 그 조금씩만큼 우리는 윤리적 도덕적으로 가난해진다. 우리 마음의 계산서에는 자꾸 ‘부끄러움’의 항목이 늘어간다. 그것은 또한 ‘부끄러움’의 능력을 잃어가는 일이기도 하다. “문학은 배고픈 거지를 구하지 못한다. 그러나 문학은 그 배고픈 거지가 있다는 것을 추문으로 만들고, 그래서 인간을 억누르는 억압의 정체를 뚜렷하게 보여준다. 그것은 인간의 자기기만을 날카롭게 고발한다.”(김현,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자기기만을 의식한다는 것은 부끄러움의 출발일 테다. “‘강한 자는 살아남는다’/그러자 나는 자신이 미워졌다”(‘살아남은 자의 슬픔’)고 아프게 고백한 브레히트의 널리 알려진 시를 덧붙일 수도 있겠다.(후략)


정홍수 문학평론가

(한국일보, 2016년 2월 11일)


기사 전문 http://www.hankookilbo.com/v/ac8aa7e643f945aba73c03b02cfaa25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E-Mail. segyo@segyo.org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