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 임계점 다다른 ‘입시정책’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칼럼·언론보도

[김명환] 임계점 다다른 ‘입시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5-01-05 16:47 조회28,252회 댓글0건

본문


지난해가 아무리 힘겨웠어도 새해 첫날에 잠시라도 시름을 접고 희망에 들뜨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그러나 올해는 신년 분위기를 누릴 마음의 여유마저 빼앗긴 국민들이 많다. 그만큼 지난 2014년은 큰 사건과 사고가 이어졌던 것이다.

게다가 우리 사회에는 새해맞이가 우울한 젊은이들이 유난히 많다. 취업난에 고통받는 20대 외에도, 지난달의 수시 결과가 나빠서 정시에 기대를 걸고 기다리는 수험생들도 그러하다. 수시에 합격한 학생은 입시 굴레를 홀가분하게 벗어났지만, 정시 발표를 기다리는 학생과 학부모는 불안에 휩싸여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 적지 않은 이들이 벌써 재수를 결심하고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다.

새해를 전망하며 많은 분들이 한목소리로 말한다. 정치개혁이나 제도개선도 중요하지만, 우리부터 한 사람 한 사람이 바뀌어 한층 책임 있는 사회구성원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이런 목소리가 책임 소재를 엄정히 가리려는 노력을 좌절시키는 무책임한 양비론으로 흐른다면 물론 단호히 거부해야 한다. 그러나 사람이 바뀌어야 세상이 바뀐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모든 이가 같은 꿈을 꾸면 그 꿈은 현실이 된다는 차원의 문화혁명이 필요한 것이다.

사람이 바뀌는 일은 곧 사람을 제대로 교육하는 일과 통한다. 그만큼 교육 문제는 우리 사회가 위기를 극복할 역량을 키우느냐를 가름할 중대한 사안이다. 그러나 지난해의 수능 논란에 이어 나온 정부 대책은 적어도 영어에 관한 한 실망스러울 뿐이다.

교육당국은 수능 영어를 2018년부터 절대평가로 바꾼다고 공언했지만, 세간의 반응은 차가울뿐더러 심지어 이 약속을 믿지 않는 분위기도 퍼져 있다. 현재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그 명칭에 어울리게 대학에서 수학할 능력과 자격을 검증하는 절대평가체제가 아니라, 남을 제치고 더 좋은 대학을 가려는 격심한 경쟁을 반영한 상대평가체제이다. 그런데 상대평가체제라는 큰 틀을 그대로 둔 채 영어만 절대평가로 바꾼다면 부작용만 터져 나올 것이 뻔하다. 아직 수능 개선에 관한 논의를 지켜볼 여지는 있다지만, 이미 근본적인 문제는 까맣게 망각된 느낌이다. 정책 결정권자들이 일선교사, 영어교육 전문가를 포함한 관련 당사자의 중지를 모으려는 생각이 과연 있는지 궁금하다.
(후략)


김명환 서울대 교수, 영문학
(경향신문, 2015년 1월 2일)

기사 전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1022041345&code=99010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E-Mail. segyo@segyo.org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