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돈균] [사물의 철학] 아버지의 카메라 - 한 송이의 꽃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칼럼·언론보도

[함돈균] [사물의 철학] 아버지의 카메라 - 한 송이의 꽃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3-08-05 17:07 조회33,414회 댓글0건

본문


자전거를 타고 집 근처 공원을 지나다가 저편 나무 앞에서 카메라를 들고 접사에 몰두하고 있는 낯익은 사람을 봤다. 이젠 머리칼이 희끗희끗한 아버지였다. "이렇게 더운 날 뭐하고 계세요?" 이쪽을 보신 아버지가 아들임을 확인하고서는 활짝 웃으며 대답하신다. "어, 너구나. 꽃을 찍고 있어."


부모님 집 벽은 이렇게 찍은 사진들로 꽃밭이다. 눈에 띄는 것은 액자 속 꽃은 꽃무더기가 아니라 늘 한 송이라는 사실이다. 비슷해 보이는 무리 중에서 단 하나의 대상에 포커스를 맞춘 확대 사진.

디지털카메라 등장, 화소 수 높은 카메라가 휴대폰과 한 몸이 되면서, 이 물건은 소소한 일상을 놓치지 않고 기록하는 갑남을녀의 `생활 장난감`이 되었다. 흥미로운 것은 연령대에 따라 사진에도 패턴이 보인다는 사실이다. 20ㆍ30대가 아기자기한 일상의 시간을 동적인 리듬으로 포착한다면, 중장년으로 갈수록 정적이고 미세한 자연에 집중하는 경향을 띤다. 연령대별로 카메라가 선택하는 대상을 따라가 보면 나름 인생 그래프가 그려질 수도 있다. 필자가 특히 관심을 갖는 건 인생의 격랑을 헤쳐 온 노년의 카메라 렌즈가 가닿은 대상들이다.


`카메라` 어원인 라틴어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는 원래 `어두운 방`이라는 뜻이다. 기본 원리가 캄캄한 방(상자)에 빛이 들어올 수 있는 작은 구멍을 뚫고, 이를 통해 바깥 사물을 재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메라 원리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중국 춘추시대 `묵자(墨子)`에 나온다.

놀라운 것은 이 원리를 장착한 장치 이름도 비슷하게 `잠긴(어두운) 보물방`이었다는 사실이다. 카메라는 최초로 아이디어가 출현했던 고대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큰 눈`으로 `훑는` 방법이 아니라 `작은 눈`으로 사물 대상에 `집중`하는 방법이었다.


부처가 깨달음 직후에 강론했다는 `화엄경(華嚴經)`의 `화엄`은 삼라만상의 섭리를 꽃잎 한 떨기에서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작은 렌즈를 통해 작은 대상에 머물면서, 세상을 가장 작게 집중해서 보는 아버지의 카메라. 그건 `꽃`이었을까?

함돈균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MK 뉴스, 2013. 8. 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E-Mail. segyo@segyo.org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