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돈균] 크로노그래프 - 시간을 쪼갤 수 있을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3-08-19 14:56 조회22,81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손목 위 시계를 본다. 일반적인 분침과 시침 외에 12시를 가리키며 정지해 있는 가늘고 긴 바늘이 있다. 3시, 6시, 9시 방향에 각각 더 작은 바늘과 더 작은 눈금으로 나뉜 세 개의 작은 시계들(?)이 수상하다. 작은 시계들은 비행기 계기판이나 경주용 자동차 속도미터기 같다.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정지되었던 12시 방향의 가늘고 긴 바늘이 돌아간다. 바늘의 움직임은 눈금과 눈금 사이의 이동 간격을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다. 이제 보니 프레임을 이루는 큰 시계 속 분침과 시침도 100분의 1 단위 미세 눈금 사이로 움직인다. 나머지 작은 시계들의 바늘도 제각각의 리듬과 눈금 단위에 따라 움직이기 시작한다.
고급 시계의 일반 모델이 된 크로노그래프 시계다. 이 시계는 시간의 화살을 대개 100분의 1초 단위로 나눈다. 한 시계 명가는 최근에 1000분의 1초, 1만분의 1초 단위로 눈금이 나뉜 시계를 선보였다. 손목시계지만 일상의 약속 시각을 확인하기 위한 물건이라고 할 수 없다. 무한소에 가깝게 쪼개지는 시계 눈금은 인지할 수조차 없는 시간과 시간의 `사이`를 측정함으로써, 시간의 본질에 다가가려는 인간의 욕망을 보여준다. 크로노그래프는 시간의 화살을 무한히 쪼개려 하지만, 이 무한소가 0 같은 `영원`으로 수렴되지 않고, 날아갈 수 있다는 걸 물리적으로 시현하는 사물이다. 크로노그래프(chronograph)라는 이름은 역설적이다. `크로노스`(그리스어 `시간`이라는 뜻)는 자식을 잡아먹는 신이었지만, 이 시곗바늘은 눈금들의 `사이`에 무한한 시간의 아들딸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하지만 시간을 쪼갤 수 있을까. 어떤 직관에 따르면 `과거-현재-미래`라는 선형적 시간관은, 시간을 `공간적으로` 사고하여 `배치`한 인식론적 오류다. 중세의 교부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는 시간은 물리적인 실체가 아니라 시간에 대한 `의식`일 뿐이며, `시간의식`에서는 기억(과거)과 기대(미래)를 종합한 `현재`만이 있을 뿐이라고 말한다. 과거는 이미 가서 없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아서 없는 것이다.
이 말이 우리를 실망시킨다면 후설 식의 긍정적 버전으로 바꿀 수도 있다. 현재에는 기억과 기대가 통합되어 있다고. 어떻게 말하든 `현재`만이 있다. 이미 사라진 시간의 볼모가 되어 현재를 포기하지 말 것이며, 아직 오지 않아 없는 시간에 저당 잡혀 현재를 희생하지 말 일이다.
함돈균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매일경제, 2013. 8. 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