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식] 북중국경의 철조망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칼럼·언론보도

[최원식] 북중국경의 철조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3-08-12 17:20 조회26,669회 댓글0건

본문

최원식 (인하대 인문학부 / 서남포럼 운영위원장)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지지난달 연변의 훈춘을 방문했을 때다. 방천(防川) 가는 길에 일행은 권하(圈河)통상구 입구를 조금 지나, 북의 나진․선봉특구로 직통하는 대교를 보기 위해 어느 조망점에서 내렸다. 80여년 전 일제에 의해 건설된 이 다리는 중의 권하와 북의 원정리를 잇는 것인데, 나진항까지 거리가 53.5km란다. 함경북도의 머리부분이 좁은 걸 감안해도 뜻밖에 가깝다. 알다시피 최근 중국은 동해(이번에 다시 확인한 것이지만 중국은 우리의 ‘동해’를 ‘일본해’로 부른다. 이 바다의 이름을 둘러싼 한일 다툼에 현재 중국은 일본 편인 것이다)로 빠지는 출구를 찾는 일에 골몰하고 있다. 두만강 하구에서 동해로 나가는 길목이 방천이라면 권하는 두만강 건너 동해로 가는 육로 최단(最短) 통로의 목이다. 북중교역의 중심축으로 급히 부상하고 있는 최근 사정을 반영하는 듯 훈춘 시정부는 새 다리를 건설할 계획이거니와, 방천과 권하, 동해안 출구로 가는 두 포인트를 갖춘 훈춘이 창지투(창춘長春-지린吉林-투먼圖們)개발의 창구로 나서고 있는 것이다.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 

 

194_1.jpg

권하다리 (중국 훈춘과 북한 나진․선봉을 연결하는 두만강 다리)

 

이러구러 버스에서 내려 권하다리를 비로소 직접 견문하게 되는 설렘으로 조망대로 나아가다가 나는 깜짝 놀랬다. 아니, 한국에서 눈에 익은 철조망이 앞을 가로막는 것이 아닌가. 안내자에게 물으매 이런 철조망이 최근, 압록강 하류에서 두만강 상류까지 거의 촘촘히 들어섰다는 것이다. 북중국경을 지키는 중국군이 지방군에서 중앙군으로 교체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게 몇 년 전인데, 이번 철조망 조치는 한걸음 더 나아간 것이다. 물론 북한 쪽에는 철조망이 없다. 이 비대칭성은 북중 국경이 주로 중국 쪽에서 점점 엄중해지는 추세를 웅변하는 것이니, 중국이 북한 내지 한반도의 현상변경 가능성을 보다 염두에 두고 있다는 복합적 증표일지도 모른다.

도문에 처음 왔을 때가 상기도 생생하다. 두만강 건너 북한의 남양을 바라보는 감회야 말할 나위 없지만, 나는 비로소 국경 다운 국경을 목격한다는 느낌에 한편 부풀던 것이다. 남한 국민은 나라 안에서는 국경을 본 적이 없다. 삼면이 바다로, 그리고 북쪽은 국경 아닌 국경인 휴전선으로 막혔는데, 민주화 이후 좀 완화되었어도, 한국은 여전히 사면이 철조망과 철책선으로 둘러싸인 외로운 섬에 진배없다. 그러니 국경이 그 양쪽을 가르는 경계라기보다는 양안을 잇는 접촉권역이란 점을 깨닫게 해준 북중국경의 평화는 국경에 대한 나의 관념을 괄목케 한 원점으로 되었던 터다. 그뒤 방문한 방천은 더 인상적이었다. 북한․중국․러시아, 세 나라 국경이 오순도순 모인 방천 역시 지극히 평화로웠다. 물론 중러국경에는 왕년의 갈등을 상징하듯(중소대립이 절정으로 치닫던 1969년 3월 두 나라는 국경에서 무력충돌한 바 있다)울창한 숲속으로 은신한 철책선이 가로지르고 있었지만, 겉으로는 지극히 평온했다. 정말로 강물 같은 평화가 유유하던 것이다. 때마침 러시아 쪽에서 북한 쪽으로 서서히 움직여 스르르 국경을 넘는 기차가 자아내는 풍정이란 얼마나 매혹적이던지. 이번에 다시 방문한 방천도 예전만 못했다. 상업화와 국가화가 손잡고 행진중이었다.

귀국한 뒤 중국이 6.25를 ‘항미원조전쟁(抗美援朝戰爭)’이란 이름 대신 ‘조선전쟁’(Korean War)으로 부르기 시작했다는 보도를 접했다. 주목할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번에 연변에서 들은 이야기가 생각난다. 북에서 핵실험했을 때 연변이 지진난 듯 흔들린 곳이 적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뭐라 해도 친북적인 연변동포들이 북핵에 대한 반대를 뚜렷히 세운다는 느낌이다. 소련이 중국의 핵기술 이전을 거절한 것이 중소대립의 시작이라는 분석을 참고컨대 북핵도 유사한 후과(後果)를 낼지도 모르거니와, 최근 내한한 중국 지식인들이 중국에 나쁜 영향을 미칠 한반도의 분열과 혼란보다는 이 지역에 근본적 평화를 가져올 한반도 통일을 지지한다고 한 발언도 외교수사만은 아닌 듯하다. 확실히 북중관계가 보통국가관계로 이동중임을 짐작하겠다. 이런 진화가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특수보다 보통이 좋다. 사실 동북아의 문제는 한국․북한․중국․일본, 이 네 나라의 관계들이 너무나 특수해서, 또는 특수하게 여겨서, 발생하는 측면도 없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북중관계가 변모중이란 점을 아전인수(我田引水)로 과장하여 북을 밀어붙이는 노릇 또한 한심한 일이다. 아무리 북중관계가 예전 같지 않아진다 하더라도 중국이 반북으로 돌아서지 않을 것이란 예측은 대세다. 북중국경의 철조망이 지니는 복합적 정치성을 깊이 음미할진대, 이 미묘한 때의 이 미묘한 국면을 활용하여 남북관계의 악순환을 끊을 절호의 기회로 삼는 것이 지금 우리에게 요구되는 현실주의이자 이상주의임을 삼가 새기며, ‘철조망 너머’의 세상을 묵상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E-Mail. segyo@segyo.org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