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돈균] 의자- 사람의 뼈대에서 나온 자연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3-09-11 13:31 조회21,29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호모에렉투스(Homo Erectus)는 `서서 걷는 인간`이라는 뜻이다. 신체구조적 진화의 역사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이 학명은 호모사이언스(슬기인간)나 호모로퀜스(언어적 인간)보다도 더 동물에 가까운 인간 종을 표현하고 있다. 문득 인간이 호모에렉투스가 아니었더라면 출현하지 않았을 도구는 무엇일까 하는 질문이 생긴다.
인간에게 `의자`는 숙명적 사물이다. 의자는 포유류 중 유일하게 네 발 동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반쯤은 선 채 엉덩이를 걸쳐 앉는 인간만의 특성을 반영하는 도구다. 다시 말해 의자의 본질은 인간 신체구조 그 자체에서 나온다. 인간의 뼈대가 크게 변하지 않았으므로, 최초의 의자 역시 크게 다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고대의 의자들에서 보듯이 의자는 전면적 형태 변화를 꾀하기 어려운 디자인적 보수성을 지녔다.
매우 단순한 기본 구조에서 엄청난 변종이 생산될 수 있다는 사실은 그래서 놀라움을 준다. 식탁용과 카페용이 다르고, 집안의 의자와 미용실의 의자가 다르며, 학생용 의자와 증권가 사무실의 의자가 서로 다르다. 옛날에는 황제의 의자, 제후의 의자와 귀족이나 양반의 의자가 모두 달랐다. 시민사회가 등장했지만 서양의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한 집안에서 계급을 가장 적나라하게 구별해주는 사물도 의자였다. 주인과 하인의 이동 동선에 따라 침실과 거실, 현관과 복도에 놓인 의자 양식이 달랐던 것이다.
의자의 다양성을 용도와 디자인 문제로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론도 가능하다. 같은 일을 하는 사무실에서도 직급에 따라 다른 의자를 배치하지 않는가.
의자의 다양성은 `앉는다`는 말에 내포된 사회적인 함의에서 나오기도 한다. `앉는다`는 말은 물리적 신체 행위뿐만 아니라 어떤 사회적 지위에 앉는다는 뜻을 담고 있기도 하다. 전근대 사회에서 왕과 신하, 주인과 하인의 의자가 달랐으며 오늘날 사장과 평사원의 의자가 다른 까닭도 여기에 있다.
인간은 모두 동일한 신체구조를 지녔다. 의자는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의 신체적 한계와 필요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사물이다.
그러므로 가장 아름다운 의자는 어쩌면 의자의 형상에서 사회적 무의식과 문화적 장식을 걷어낸 의자일지도 모른다. 필자가 최근 한 카페에서 본 의자도 그랬다. 그건 사람의 뼈대만을 오롯이 반영한 `자연주의`를 닮아 있었다.
함돈균 고려대 철학과 연구교수
(매일경제, 2013. 9. 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