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이] 글쓰기 괴로움에 지친 이들에게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칼럼·언론보도

[김수이] 글쓰기 괴로움에 지친 이들에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3-08-02 15:24 조회31,202회 댓글0건

본문

말하는 것보다 쓰는 것이 더 몸과 마음에 잘 맞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쓰는 일로, 말하는 일의 상당부분을 대신한다. 쓰는 것이 더 안락하고 충족적인 사람들은 쓸 수 없을 때 자신의 존재의 밑바닥부터 금이 가는 불안을 경험한다. 심지어 쓰지 않는 자신에게 무거운 죄의식을 느끼기도 한다.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으며 쓰지 않고는 타인과 세계를 거쳐 자기 자신에 이를 수 없는 사람들, '글 쓰는 인간'(Homo Writers)은 두 갈래 길 앞에서 늘 초조하고 위태롭다. 쓸 수 있거나 쓸 수 없는…….
(중략)


테마가 있는 뉴스Why뉴스[생생영상] 화제뉴스[Why뉴스] 차영 전 대변인은 왜 정치생명을 걸었을까? (종합)소프라노 조수미 "비스트 양요섭 출연해줘"..한 무대서 호흡"부산 바다, 축제로 넘실" 제18회 부산바다축제 개막'쓰는 인간'은 쓸 수 없어서, 원하는 대로 쓸 수 없어서, 잘 쓸 수 없어서 고통스럽다. 지금까지의 글쓰기가 생각해내지 못한 방식으로 쓰고 싶어서, 자신이 생각하고 욕망하는 대로 쓰고 싶어서, 자신이 생각하지 못하고 살지 못하는 바를 쓰고 싶어서 고통스럽다. 또는 남들이 이미 쓴 것을 쓰고 있어서, 남들이 쓰지 않은 것을 미친 척 외롭게 쓸 수밖에 없어서, 자신이 쓴 글과 끊임없이 분리되며 쓸 수밖에 없어서 고통스럽다. 그리하여 그/녀는 마침내 쓸 수 '있는' 것을 쓸 수 없어서가 아닌, 쓸 수 '없는' 것을 쓸 수 없어서 고통스럽다. 쓰는 인간에게 쓰기의 불가능성은, 존재의 삶의 불가능성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며 유사한 스펙트럼을 갖는다.


그러니 잊지 말기로 하자. 자주 과도한 열정과 콤플렉스로 존재 전체가 불콰해져 있는 그/녀가 이 모든 불가능성을 넘어서서 기어코, 쓰고 있다는 것을. 기어코,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 「쓸 수 있거나 쓸 수 없는」 중에서 (『쓸 수 있거나 쓸 수 없는』)


낡은 책상, 손때 묻은 노트 혹은 컴퓨터, 좀처럼 이어지지 않는 문장, 식어 버린 커피잔, 창밖으로 부옇게 밝아오는 아침…….


이 익숙한 글쓰기의 풍경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연상하게 합니다. 글쓰기의 괴로움, 좋은 글을 쓰기 위한 한없는 수고, 작가의 삶, 걸작의 탄생, 무명작가의 절망 등.


당신이 상상한 저 고군분투의 고독한 글쓰기의 풍경 속 글의 장르는 아마도 시나 소설일 것입니다. 에세이나 편지일 수도 있습니다. 드물게는 논문이나 신문기사일 수도 있겠군요. 그러나 이것 한 가지, 평론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떤 글쓰기는 고독한 글쓰기의 좀 더 고독한 외곽에서 느릿느릿 자신의 길을 갑니다. 평론이 바로 그러합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겹겹의 고독'은 어떤 글쓰기만이 아닌 모든 글쓰기의 공통의 운명이겠습니다. 직업이 삶의 질을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없듯, 장르가 글쓰기의 위계를 나누는 기준이 될 수는 없습니다. 삶 앞에서 모든 인간이 평등하듯, 글 앞에서 모든 쓰는 자는 평등합니다. 글쓰기 앞에서 겪는 번민과 막막함에는 세계적인 대작을 쓰는 작가와 일기를 쓰는 어린아이 사이에 차이가 없습니다. 어떤 글이든 글을 한 번이라도 써본 적이 있는 사람은 압니다. 글쓰기의 괴로움과 콤플렉스로 우울해져본 적이 있는 사람은 더욱 잘 알 것입니다. 보잘 것 없는 문장 한 줄을 쓰는 데도 자신의 전 존재를 일으켜 세우는 안간힘이 필요하다는 것을.


모든 글쓰기는 이 고통의 시간을 통해 하나로 이어져 있습니다. 모든 '쓰는 자'도 그렇게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믿음으로, 타인을 향해 두려움을 떨치며 한 걸음씩 나아가는 '글쓰기'는 '살아가기'의 다른 이름입니다. 쓸 수 있어 행복합니다.



김수이 올림


김수이 문학평론가
(노컷뉴스, 2013. 6. 18.)
※원문은 한국도서관협회 문학나눔의 행복한 문학편지 (http://letter.for-munhak.or.kr)에서 볼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E-Mail. segyo@segyo.org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