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영경] 가족은 저출산의 해결책이 아니다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칼럼·언론보도

[백영경] 가족은 저출산의 해결책이 아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5-07-23 21:59 조회31,441회 댓글0건

본문

흔히 가만히 앉아서 당할 수는 없으니 뭐라도 해봐야 한다고들 하지만, 아등바등 최선을 다한다고 해서 손 놓고 앉아있는 거보다 반드시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 것이 세상일인 것 같다.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간다는 말이 괜히 나왔겠는가. 마찬가지로 저출산이 한국사회의 앞날을 어둡게 하는 큰 문제라며 도입되는 여러 저출산대책이 의도한 대로 출산율을 높이기는커녕, 그 자체로 더 큰 사회문제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최근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3세대가 함께 살아가는 가족공동체의 회복을 도모하겠다는 것 역시 그대로 실행될 경우 해결책이 더 큰 사회문제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사례가 될 게 틀림없어 보인다. 사실 민망하게도 보도 기사 앞머리에서 저출산해결을 위해서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개별적·미시적 접근에서 벗어나야 하고 주거·고용·교육 등 출산과 양육이 어려운 사회적 구조 문제를 해결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내용을 보았을 때까지만 해도, 곧 나올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은 이전의 대책보다 한결 포괄적인 접근을 한다더니 정말 그럴 모양이지라는 기대가 있었다. 그런데 곧바로 이어진 사회적 구조 해결의 방안이 3세대 동거란다. 한국의 효 문화를 계승하여 저출산뿐만 아니라 고령화 문제까지 해결하는 실마리로 삼겠다니 잠시라도 기대를 했던 자신이 당혹스러울 수밖에.


대가족제도를 통해 저출산을 해결하겠다는 발상의 문제는 일부에서 지적하듯이 단지 실효성이 있고 없고 문제만은 아니다. 일찍이 저출산을 국가적 위기로 보는 담론이 출산을 여성의 의무로 만들어 출산하지 않는 존재들에 대한 차별을 가져올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저출산대책에 대해 대부분이 수긍할만한 긍정적 역할이 있었다면, 이는 아이를 낳고 기르는 책임을 개인이나 개별 가정에 오롯이 지울 수는 없다는 사회적 인식과 제도를 확산시켜 온 점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새삼 다시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의 해결책을 가족에서 찾겠다는 발상은, 이제까지 보육과 노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애써온 정부 정책 자체를 뒤흔드는 도발이자 중대한 퇴행인 것이다.


사실 지난 10여 년 동안의 이러저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현상에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우선 황부총리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듯 한국사회에서 출산과 양육이 어려운 것은 주거·고용·교육과 같은 사회의 구조적 문제 때문이다. 그런데 이 같은 문제들은 말 그대로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라서 출산을 할 사람들에게만 도움을 주겠다는 방식으로는 해결되지 않으며, 더구나 좀 해보다가 별 효과 없다싶으면 금방 그만두거나 예산을 삭감하는 방식으로는 절대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인구가 줄면 국가발전이 위기에 처할 것이라며 출산을 독려하지만 사실 성장과 발전을 앞세우는 사고 자체가 지금의 아이 낳아 기르기 어려운 사회를 만든 근본 원인 아닌가.
(후략)


백영경 한국방송통신대 교수, 문화인류학
(한국일보, 2015년 7월 19일)

기사 전문
http://www.hankookilbo.com/v/3cb11261feb343cd99bcf253efa603d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E-Mail. segyo@segyo.org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