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규관] 언론으로부터의 자유 > 회원칼럼·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칼럼·언론보도

[황규관] 언론으로부터의 자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20-06-18 16:20 조회9,146회 댓글0건

본문

1960년대에 시인 김수영이 언론의 자유에 대해 예민했다는 건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문학인들이 언론자유에 대해 타협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을 사정없이 질타했으며 만일 문학단체들이 만들어져 어떤 목소리를 내야 한다면 “우선 이 ‘완전한 언론자유’에의 진취가 지고목표”여야 한다고 말하기까지 했다. 언론자유의 바탕에는 표현의 자유가 있고, 언론자유는 강력한 비판의 역할을 했기 때문에 독재정권은 언론자유를 억압해야 했다. 이런 배경 때문에 언론자유 문제는 민주주의의 정도를 평가하는 척도 역할을 해 온 것이다. 우리의 언론자유는 최근까지도 문제가 됐다. 이명박 정부 시절부터 언론자유가 심각하게 위협받았기 때문이다. 그 당시 언론자유 지수가 곤두박질친 것은 그 생생한 예이기도 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언론에 대한 이명박의 가장 큰 업적(?)은 언론 자체를 상품으로 만든 일이라 하겠다.

 

종합편성채널(종편)이라고 부르는, 목소리만 큰 방송들은, 사실 정치적 입장 차이를 떠나서 우리 사회를 ‘정치적 소음’으로 오염시킨 주범이다. 그리고 그 출발 테이프를 이명박이 끊어 준 것이다. 그들의 ‘정치적 소음’을 기점으로 해서 언론의 언어가 급속도로 타락한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다가 결국 언론이 사건의 진실 ‘따위는’ 내팽개친 지점까지 왔다. 언론은 지금 당장 감정적으로 소비되는 언어를 생산하고 있을 뿐이다. 여기에는 더 큰 사회적 배경이 도사리고 있다. 그것은 바로 디지털 기술의 개인화이다. 우리나라에 스마트폰이 도입되기 시작한 것도 공교롭게 이명박 정부 시절인데, 2009년에 애플의 아이폰이 국내에 처음 출시됐다. 물론 스마트폰의 등장이 이명박의 공이나 잘못일 리 없다. 달리 보면 이명박은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이유로 언론을 언어 상품의 공장으로 만든 것일 수도 있다.

 

소셜미디어는 언론자유를 더 확대시킨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절에도 소셜미디어에서 집회 소식을 알리거나 정치적 의견을 마음껏 표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저런 작은 해프닝이 없었던 게 아니지만 말이다. 특히 그 당시 트위터는, 예를 들면 고립된 노동자들의 투쟁 소식을 실시간으로 알리는 매체가 되기도 했다. 가급적 140자 안에 메시지를 욱여넣어야 했기에 언어들은 나날이 강렬해졌고 그만큼 자극적으로 변했다.

 

새로운 디지털 환경은 언론의 소비자였던 사람들을 언론의 생산자로 극적으로 탈바꿈시켰으며, 나아가 언론의 생리마저 바꿔 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새로운 디지털 환경은 매 순간 ‘혁신’을 단행하고 있는데 그것은 인공지능의 능력이 데이터의 증가에 비례해 폭발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다. 이제 인공지능은 어떤 내용의 기사 또는 포스팅을 써야 ‘좋아요’와 클릭 수가 증가하는지 알고 있다고 한다. 달리 생각하면 언론도 이제 보이지 않는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에 휘말려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가까운 예로,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 이후에 벌어진 ‘정의연’에 대한 언론의 속도전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언론의 속도전이 어제오늘 일이 아니긴 하지만,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정확성이나 신중함을 내다 버리는 상황까지 온 것이다. 그런데 이런 현상은 사회적 이슈가 터질 때마다 되풀이될 모양새다. 문제는 클릭 수만 따르는 기사가 인공지능에 되먹임되고, 그것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소비되면서 한 번 더 증폭된다는 점이다.

 

언어가 상품이 된 것은 기정사실이다. 언어가 상품이 된 현실은, 문학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제 문학 언어마저 작가 자신의 고유한 경험과 사유에서 발생한다고 말하기 힘들게 됐다. 상품으로서 떠다니는 언어를 채취하는 게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만일 문학이 언어마저 상품이 된 현실과 싸우지 않는다면, 이제 언어로 사랑을 말하거나 꿈을 꾸는 것도 끝난 것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고 보면 문학 고유의 언어를 해체하려고 했던 그동안의 이런저런 시도들은 다 계획이 있었던 것 같다. 언어가 상품이 되는 흐름을 저지할 마지막 보루가 사실상 문학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지금은 진실이 아니라 클릭 수를 따르는 언론이 문학의 가장 큰 적으로 대두했다. 이제 ‘언론자유’에 대한 김수영의 말은 수정돼야 할 것 같다. 만일 문학이 어떤 목소리를 내야 한다면 ‘언론으로부터의 자유’가 돼야 한다고 말이다. 이것이 오늘날 문학의 새로운 윤리 아닐까.

 

황규관 시인 

 

서울신문 2020년 6월18일

원문보기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6180300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egyo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TEL. 02-3143-2902 FAX. 02-3143-2903
04004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12길 7 (서교동 475-34) 창비서교빌딩 2층 (사)세교연구소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