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차] 친일론을 위한 비망록
|
07-26 |
[제15차] 한국문학 연구에 나타난 탈민족담론의 문제점
|
07-26 |
[제14차] 한국 뉴라이트의 두 가지 경향: 네오콘과 …
|
07-26 |
[제13차] 새로운 중국의 현실과 문학의 갱신
|
07-26 |
[제12차] 한미FTA에 대한 시민사회의 우려
|
07-26 |
[제11차] 분단체제와 평화국가 만들기
|
07-26 |
[제10차] '통일시대'의 문학적 징후들
|
07-26 |
[제9차] 재벌문제의 새로운 쟁점과 대안 모색(공개심포…
|
07-26 |
[제8차] '문학종언론'과 문학의 미래: 최근 한일문학…
|
07-26 |
[제7차] 한미FTA의 추진현황과 주요 쟁점
|
07-26 |
[제6차] 2000년대 한국문학의 새로운 문법과 현실 …
|
07-26 |
[제5차] 90년대 시민운동과 한계와 변화에 대해
|
07-26 |
[제4차] 80년대 진보적 작가들의 최근 성취
|
07-26 |
[제3차] 진보담론의 현황과 과제
|
07-26 |
[제2차] 실험, 혹은 전위에 대한 오해들
|
07-26 |